[일요와이드] 동해안 산불 사흘째…진화 작업 총력<br /><br /><br />경북 울진에서 시작해 강원 삼척까지 확산한 산불이 사흘째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산불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산림 당국이 오전부터 진화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박재성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와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소방·산림당국이 날이 밝자마자 헬기와 인력을 투입해 주불 진화에 다시 나섰습니다. 어제는 강풍과 짙은 연기 때문에 발화 원점을 제대로 타격하지 못해 끝을 내지 못했는데, 오늘 진화 작업은 어떻게 진행될까요?<br /><br /> 어제 오전부터 바람 방향이 바뀌면서 울진읍 쪽으로 불길이 확산했습니다. 가스충전소와 주유소 인근까지 불길이 번지면서 한때 위험한 상황을 맞기도 했는데요. 큰 고비는 넘겼다고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밤사이 산불로 인한 피해 면적도 크게 늘었습니다. 산림피해는 현재까지 1만2,317㏊로 집계되고 있는데요. 이 정도면 어느 정도 규모로 볼 수 있습니까?<br /><br /> 소방·산림당국은 오늘 주불 진화를 완료한다는 계획이지만 관건은 기상 여건입니다. 현재 강원 영동과 영서에 강풍주의보는 해제됐지만, 여전히 동해안 방면에 건조 특보가 남아있어 아직 안심할 순 없는 상황이죠?<br /><br /> 현재 동해안 지역에서 마을 주민 7,000여 명이 대피했다고 합니다.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임시대피시설에 있다고 하는데요. 대피 주민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합니까?<br /><br /> 울진 산불은 도로변에서 처음 시작된 것으로 확인이 됐고요. 강릉과 동해시에 피해를 준 산불은 방화가 원인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불이 이렇게 삽시간에 번진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올해 산불이 많이 났습니다. 올해 1~2월 발생한 산불은 모두 22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18건보다 약 2배가량 많은 건데요. 특히 왜 이렇게 왜 피해가 큰 거죠?<br /><br /> 건조한 날씨에 강한 바람까지 겹쳐 산불 발생 위험성이 커지는 시기입니다. 산불이 계속 번져서 위험에 처하거나 주택가를 향해 확산할 경우 대피요령은 어떤 게 있을까요?<br /><br />#경북울진 #강원삼척 #산불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